본문 바로가기

대표 먹거리/순흥기지떡

[맛 향토음식의 산업화] 40년 전통 순흥기지떡 할매 장화복씨 [맛 향토음식의 산업화] 40년 전통 순흥기지떡 할매 장화복씨 "학교 급식에 우리 전통 먹을거리 올라갔으면" “기지떡을 만든 지는 40년 됐어요. 10년 전부터는 인절미도 만들고 있어요. 맛있다고 많이들 찾으니 고마울 뿐이지요.”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서 40년 동안 순흥 기지떡을 만들고 있는 박화복(75) 할머니. 박 할머니는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산업화에 성공한 ‘순흥 기지떡’을 대표하는 인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순흥 기지떡집의 상호도 2008년부터 ‘박화복 떡마을’로 바꿨다. 20년 전 도회지 생활을 청산하고 떡집 운영을 맡고 있는 작은아들 김주한씨의 발상이었다. 40년 동안 기지떡 하나로 고생한 엄마에게 영원히 남을 선물(?)로 상호에다 이름을 사용한 것. 박 할머니는 “처음 이곳은 그야말로 .. 더보기
순흥의 명물 순흥기지떡 기지떡은 다른지역에서 술떡, 증편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기지떡은 아름답다는 뜻으로 상화떡·상화병(霜花餠)이라고도 하고 양반떡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기품과 쓰임새를 으뜸으로 꼽았다. 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소를 넣고 찐 떡인 상화(霜花)는 고려시대 원(元)으로부터 전래되었음을 고려가요에서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에는 밀가루가 귀해서 밀가루 대신 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부풀게 하여 찐 기지떡으로 발전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국 전통음식 조리법을 대표하는 발효 과정을 거친 떡이라 살아있는 유산균 덩어리다. 단순한 계절떡, 의례떡과 달리 기지떡은 건강을 생각하면서도 여름철 오랜 시간 저장이 가능한 조상들의 지혜가 고스란히 스며든 떡으로 품격이 다르다.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서 45년 동안 순흥 기지떡을 만.. 더보기